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5

감성을 부르는 커피 음악 플레이리스트 커피를 마실 때 음악이 없다면 어떨까요? 업무 중이거나 미팅을 위한 자리에서가 아니라면 거의 커피는 음악과 함께 합니다. 최소한 카페에서는 말이죠. 소음 속에 가려질지언정 카페에서 음악이 없다면 뭔가 빠진듯한 또는 맹숭맹숭한 느낌일 겁니다. 커피를 마시며 듣는 음악은 커피의 맛과 경험을 한층 더 풍부하게 만들어줍니다. 특히 인상적인 커피 맛에 어울리는 음악까지 더해지면 그야말로 최고의 분위기에 흠뻑 젖을 수 있고 뭘하든 몰입도는 더 높아지게 됩니다. 아침의 강렬한 에스프레소부터 여유로운 오후의 라떼까지, 커피의 종류별로 어울리는 음악은 분명히 다릅니다. 우리의 기분에 따라 어울리는 커피의 맛과 느낌도 다르듯이 말이죠. 이 글에서는 다양한 커피 종류와 그에 어울리는 커피 음악 플레이리스트를 소개해볼까 합니.. 2025. 4. 21.
라떼 한 잔 속의 예술 - 바리스타의 세계와 라떼 아트 1. 바리스타, 단순히 커피를 내리는 사람이 아닙니다.커피 클래스에서 라떼 아트를 배워본 적이 있습니다. 바리스타가 되기 위한 것은 아니고 그냥 흥미삼아 참석해 본 것이었죠. 문득 그 때가 생각나 오늘은 커피,특히 라떼와는 떼놓을 수 없는 바리스타와 라떼 아트에 대해 얘기해볼까 합니다.지금은 없어졌지만 우리 동네에 있던 '303 카페'의 바리스타는 늘 정성스러운 손길로 라떼를 만들어줍니다. 매번 같은 메뉴를 마시는데도, 그 한 잔이 늘 다르게 느껴지는 건 단순히 우유 거품 때문만은 아닐 겁니다. 그 라떼에는 그 바리스타의 그날의 기분, 손놀림, 집중력이 모두 담겨 있으니까요.바리스타는 단순히 커피를 내리는 사람이 아니라, 커피 한 잔으로 감정을 전달하는 사람입니다. 커피의 산지와 품종, 로스팅 포인트, .. 2025. 4. 7.
과테말라 안티구아 커피의 재배 특성, 맛의 특징, 평가와 매력 과테말라의 안티구아 커피는 개인적으로 제가 가장 좋아하는 중남미 계열의 커피입니다. 그런데 막상 이 멋진 커피에 대해 설명을 해보려 하니 전문가도 아니고, 커피에 대해 아는 바도 없이 그저 마시는 것만 좋아할 뿐인 제 짧은 지식이 참으로 한탄스럽습니다. 제가 이 커피를 접한 것은 기억조차 하기 힘들 만큼 오래 전입니다. 다만 그 당시의 커피 맛은 아주 쓰다는 기억만 강했습니다. 아마도 이탈리안 로스팅이나 다크 로스트였지 않았나 싶습니다. 초창기의 스타벅스 아메리카노와 같은 느낌. 그 기억때문인지 이후로 이 커피를 선택할 기회는 많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몇 년 전 베트남의 스페셜티 카페에서 우연히 그 커피를 다시 마시게 되었고, 묵직한 바디감과 부드러움이 공존하며 입안 가득 퍼지던 그 향미는 제가 기존에 .. 2025. 4. 1.
탄자니아 킬리만자로 커피의 탄생, 특징과 가치 “킬리만자로는 해발 5,895미터의 눈 덮인 산으로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산이라고 한다. 그 산의 서쪽 봉우리는 마사이(Masai)어로 ‘응가예 응가이’, 즉 ' 신의 집'이라 불린다. 서쪽 정상 부근에는 얼어서 말라붙은 표범 시체가 있다. 표범이 그 봉우리에서 무엇을 찾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여지껏 아무도 설명하지 못했다.” 헤밍웨이의 대표 단편 의 한 구절입니다. 커피 이야기인데 왜 갑자기 헤밍웨이의 소설이 나올까요? 그것은 탄자니아 킬리만자로 커피가 그의 소설과 이를 당대 최고의 배우들(그레고리 펙,에바 가드너 등)을 내세워 영화화함으로써 세계적으로 그 명성을 얻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헤밍웨이가 이 커피와 함께 하며 멀리 보이는 킬리만자로산을 소재로 명작을 탄생시켰기에 이 커피는 '헤밍웨이가 사랑한.. 2025. 3. 30.
브라질 산토스 커피의 역사, 재배 조건, 특징과 매력 전문가들은 지금이 문화적으로 "한국형 제3세대 커피 전문점"의 시대에 있다고 말합니다. 혹시 1990년대의 난다랑이나 자뎅 커피 또는 도토루란 커피 전문점 이름을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이들은 소위 '제2세대'라 일컫는 스타벅스 에스프레소 커피 문화가 들어오기 전, 미국식 드립 커피 문화를 선도한 '제1세대 커피 전문점'들의 이름입니다. 저에게 브라질 산토스 커피는 그런 '1세대 커피 전문점'시대부터 익숙한 명칭입니다. 종전의 답답하고 어둑한 커피숍 분위기에서 벗어나 세련되고 밝은 느낌의 신식 카페....서구식 스탠딩 의자에 앉아 자주 마시던 커피가 바로 '브라질 산토스'였습니다. 오직 쓰디 쓰기만한 원두 커피에 익숙하지 않던 시절에 아마도 그 중립적이고 부드러운 맛이 취향에 맞았나 봅니다. 이렇.. 2025. 3. 27.
아시아 각국의 대표적인 커피의 종류와 가치 전 세계에는 정말 많은 종류의 특별한 커피들이 있습니다. 그 자신의 태생이 특별한 커피들도 있지만 같은 태생임에도 이를 만들어 마시는 커피 문화의 차이때문에 그 다양성은 더욱 폭넓습니다. 아프리카나 중남미 외에 아시아 역시 기후와 지형이 커피 재배에 적합한 지역이 많아 세계적인 커피 생산지이면서 다양한 커피 문화가 공존하는 지역입니다. 지역 고유의 원두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각국의 전통과 기호에 따라 독특한 커피 스타일이 발전해 왔습니다. 아시아의 모든 나라들을 여행해 본 것은 아니지만 제가 체험해 본 아시아의 여러 커피들과, 체험은 못했지만 알고 싶은 각 나라의 커피들에 대해서 폭넓게 알아보고자 합니다. 다만 아시아 지역의 더운 지방에서는 로부스타 종 원두를 볶을 때 버터나 다른 요소들을 첨가하여 쓴.. 2025. 3. 25.
728x90
반응형